본문 바로가기
정보

아즈텍의 재규어 전사와 똑같이 생긴 '청나라의 정예부대'를 알아보자

by 프레임 2021. 9. 5.
728x90
반응형

아즈텍 하면 생각나는 전사는 '재규어 전사'다

 

 

 

그럼 역덕들에게 청나라 하면 생각나는 전사는 '팔기군'이라고 말할것이다

 

 

 

하지만 청나라에 아즈텍 재규어 전사와 같은 정예부대가 있었다는 사실을 많은 역덕들은 알지 못했을 것이다

 

 

 

청나라의 정예부대였던 '전쟁의 호랑이(War of Tigers), 중국어로 등패영(téngpáiyíng 藤牌營) 부대에 대해 알아보자

 

 

 



 

청나라 이전 머나먼 고대 중국 역사는 보병과 기병이 뒤섞여 싸우는 전쟁이었다. 고대 중국인들은 보병이 기병에게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했는데, 그중 하나가 보병을 호랑이처럼 꾸며서 돌진하는 기병을 놀라 자빠지게 하는 전술이었다

 

 

 

보병을 호랑이처럼 꾸며놓은 모습은 고대~중세 중국의 여러 유물과 기록에서 확인된다. 위진남북조 시대와 통일 제국인 수나라, 당나라 시대 병사들을 표현한 토우를 보면 호랑이 얼굴의 투구를 쓴 모습의 병사들이 자주 보인다

 

 

이후 시간이 지나 명나라가 청나라에 망할 당시, 명나라를 구원하고자 했던 정성공(鄭成功)은 만주족의 기병에 대항하기 위해 병사들의 복장을 호랑이처럼 꾸몄고, 방패도 호랑이 문양을 그렸다. 역사가 토니오 안드라데(Tonio Andrade)는 이러한 정성공의 병사들을 '호랑이 근위대'라고 불렀다고 한다

 

 

정성공과 싸웠던 청나라는 호랑이 전사들의 위용에 감탄하여 그 방식을 즉시 채용했다

 

 

청나라 호랑이 전사 교범

 

 

청나라 황제 강희제는 러시아제국과의 전쟁이 벌어지자 과거 정성공의 부관이었지만 투항한 임흥주( Lín Xīngzhū 林兴珠)에게 즉시 복건성에서 차출한 용맹한 병사들은 호랑이 전사로 키우기 시작했다

 

 

진영을 짜는 호랑이 전사

 

 

호랑이 전사들은 대 러시아전에서 투입되었기에 사격에 능한 러시아군의 탄막을 막아야 했기에 커다란 등패(등나무로 만든 방패)를 들게 하였다. 이 등패는 이전 등패보다 좀더 강화된 두겹이상의 강화 등패로서 러시아군의 탄막을 막아낼수는 없었지만, 총알이 호랑이 전사 자신에게까지 치명상을 주지 못하게 해주었다

 

알바진에서 벌여진 전투당시 호랑이 전사들은 상당한 활약을 했다. 임흥주가 이끄는 호랑이 전사들은 물에 뜨는 등패로 얼굴을 가린채 몰래 잡입해서 러시아의 함선을 습격하여 30명을 죽이고 15명을 포로로 잡았다

 

 

 

영국 레드코트에게 패퇴당하는 호랑이 전사들

 

 

청나라와 러시아의 전쟁에서 활약한 호랑이 전사들은 청나라의 정규군으로 편입되었고 이들이 나타난 때는 불행하게도 160년후 아편전쟁이다

 

청나라는 신식무기로 무장한 영국군에게 구시대적 유물인 호랑이 전사들을 전장에 투입하였다 1842년 청나라 황족 이경(奕經)은 영파(寧波) 전투에서 사천에서 데려온 정예 호랑이 전사 700명을 영국 레드코트들에게 돌격하도록 명했다. 호랑이 전사들은 레드코트들에게 달려들었지만 영국군은 그들의 우스꽝스러운 옷차림에 코웃음을 치며 일방적인 양학을 보여주었다. 이 전투에서 호랑이 전사는 모두 전멸한 방면, 영국군은 단 1명이 죽었을 뿐이다

 

 

박물관에 전시된 동양의 구식군대들 1. 청나라 병사, 2,3. 일본 병사, 4. 베트남 병사, 5. 청나라 호랑이 전사, 6. 조선 병사

 

 

 

1900년대 의화단 운동당시 호랑이 전사(맨위)

 

 

청나라는 아편전쟁에서 패배하고 이후 양무운동으로 서양의 신식무기를 받아들였지만 호랑이 전사 부대는 끝까지 고집하였다. 이들은 청일전쟁과 의화단 운동, 만주에서 대한제국과의 전투까지 투입되었는데  일본과 서구세력, 대한제국에게 모두 패배하였다

 

 




과거 동양 최강 청나라의 정예부대였던 이들은 호랑이 코스프레나 하는 귀여운 전사로 조롱이나 당하는 신세가 되면서 제국주의 시대 서구인들의 웃음거리로 전락해버린것이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