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기업형 농장이 곡류를 못하는게 아니라 안하는 이유.txt

by 프레임 2021. 6. 7.
728x90
반응형

겁나 넓어서 비행기로 농약줌

 

 

현재 농업 대체제로 기업형 농장이 최고라고 알고 있는 사람이 많은데

 

단순하게 왜 기업형 농장이 안생기는 이유에 대해 적어봄.

 

곡류는 그렇게 많은 수익이 나는 작물이 아니다

 

기업형 농장이 뭐 정책적으로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은데 이미 있음

 

충남 서산에는 이미 80년대 현대에서 간척지 매꿔서 만든 현대서산농장이라고 겁나 크케 있음((대략 3천만평임)

 

여기서 우리나라 쌀 생산량의 1%를 생산함

 

간척사업으로 만들었는데 당시 매립비용이 2조가 넘음 지금으로 따지면 투자금액이 더 컸을듯

 

 

 

 




근데 이런 규모 혹은 투자에 비해

 




 

영업이익이 좀 처참함..

 

지금도 식료품값 높다고 난리라서 기업형 하면 식료품이 싸진다 하는데

오히려 국가에서 조절 안하면 오를수도 있음

 

이렇게 수익률 개판인데 어떤 기업에서 투자해서 농업을 하겠음

 

기업형농업을 안하는 이유는 꽤 많은데 한가지 이유만 적어봤음

단순하게 투자금 3조 최근 5년간 영업이익25억 이라고 보면됨

어지간한 기업은 생각도 못할 투자임

 

사람들이 기업형 농업은 기업들이 하고 싶어도 정부에서 못하게 하는거라 생각하는데

 

그냥 투자대비 수익이 개차반이라 안하는거임

 

게다가 요즘 수익이 적어서 민간이나 현대 계열사한테 땅 팔아서 공장을 짓던 연구소를 짓던 하라고 분양하는중임

 

그나마 새만금 같은곳에서는 수익이 좀 되는 약용작물이나 고구마 같은 작물들은 기업형 농장들이 하고 있는중

 

그리고 곡류를 기업한테 생산 유통을 다 맡겨버리면 달걀파동처럼 곡류도 엄청난 상승률을 보일 수 있음

 

 

728x90
반응형

댓글